학교 과제 - 전공

폭포수 모델 보고서 - 실 사용 예시 및 분석 평가

당혜성 2025. 3. 23. 00:45

목차

1. 개요

2.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델 선택

3. 폭포수(Waterfall) 모델 분석

3 1. 폭포수 모델의 주요 단계

3 2. 폭포수 모델의 응용 분야

4. 폭포수 모델 사례 분석

5. 분석 및 평가

5 1. 폭포수 모델의 장점

5 2. 폭포수 모델의 단점 및 한계

5 3. 평가

5 4. 애자일(Agile) 모델

5 5. 스크럼(Scrume) 모델

5 6. V-모델

6. 결론 및 제안

7. 참고 문헌

 

1. 개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모델을 선택하여 실제 적용된 사례를 분석하는 보고서

이다. 실제 기업, 기관, 프로젝트 등에서 사용된 개발 프로세스를 조사하여, 해당

모델이 프로젝트 성공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평가한다.

이 보고서는 나중에 게임개발을 할 때 어떠한 소프트웨어 모델이 좋을지, 실제 성공하였던 성공 사례를 보면서 어떠한 모델이 적절한지 평가할 것이다.

 

2.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델 선택

보고서에 작성할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델은 폭포수(Waterfall) 모델로, 가장 오래되고, 크고 복잡한 오래 지속되는 프로젝트에 적합하다는 내용이 있어 선택하였다. 게임개발도 오래 지속되는 프로젝트인 만큼 보편적이고 오래 지속되는 프로젝트에 적합한 모델로 선정하였다.

 

3. 폭포수(Waterfall) 모델 분석

폭포수 모델(Waterfall Model)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프로젝트 관리에서 가장 전

통적이고 체계적인 방법론 중 하나이다. 이 모델은 개발 프로세스를 일련의 단계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각 단계가 완전히 종료된 후에야 다음 단계로 넘어

가는 특징이 있다.

 

3 1. 폭포수 모델의 주요 단계

요구사항 분석 (Requirements Analysis)

목적: 프로젝트의 목표와 고객의 요구를 명확히 파악하여, 기능적ㆍ비기능적 요구사항을 문서화 한다.

산출물: 요구사항 명세서(SRS, Software Requirements Specification)

 

2.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설계 (System/software Design)

목적: 분석 단계에서 도출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시스템의 아키텍처,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인터페이스 설계 등 세부 설계 작업을 수행한다.

산출물: 설계 문서,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데이터 모델링 산출물

 

3. 구현 (Implementation)

목적: 설계 문서를 기반으로 실제 소프트웨어 개발(코딩)을 한다. 각 모듈이나

컴포넌트를 개발하여 시스템의 기능을 구현한다.

산출물: 소스 코드, 컴포넌트, 모듈 단위의 테스트 결과

 

4. 통합 및 시스템 테스트 (Integration and System Testing)

목적: 개별 모듈들이 잘 통합되어 전체 시스템이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한

.

산출물: 테스트 보고서, 버그 리스트, 통합 테스트 결과

 

5. 배포 (Deployment)

목적: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실제 운영 환경에 배포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

록 한다.

산출물: 배포 문서, 사용자 매뉴얼

 

6. 유지 보수 (Maintenance)

목적: 운영 중 발생하는 버그 수정, 성능 개선 및 추가 기능 개발 등으로 소프트

웨어를 지속적으로 개선한다.

산출물: 업데이트 릴리즈, 유지 보수 기록

 

3 2. 폭포수 모델의 응용 분야

소규모에서 중간 규모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요구사항이 명확하고 변화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 효과적이다.

 

산업용 제어 시스템 및 임베디드 시스템: 고정된 기능과 성능이 요구되는 분야에

서 안정적인 개발 프로세스를 보장한다.

 

정부 및 공공 프로젝트: 문서화 규정 준수가 중요한 프로젝트에서 폭포수 모델이

유리하게 작용한다.

 

4. 폭포수 모델 사례 분석

1. 다윈 ERP 프로젝트의 단계별 진행 및 폭포수 모델 적용

사례 프로젝트명 적용된 프로세스모델 적용 방식 결과
Karzin Lab 다윈 ERP 폭포수 모델 체꼐적인 단계별 접근을 통한 안정적인 시스템 구현 성공적

 

1. 요구사항 분석

프로젝트의 첫 단계로, 기업의 현재 업무 프로세스와 필요 사항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ERP 시스템이 지원해야 할 기능과 목표를 명확히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요구사항은 문서화 되어 다음 단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었다.

 

2. 시스템 설계

분석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ERP 시스템 전체 아키텍처와 각 모듈의 세부 설계를

수행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구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간 연계

방식 등을 상세히 설계하여 시스템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확보하였다.

 

3. 구현(코딩)

설계된 내용을 토대로 실제 코드를 작성하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각 모듈은 독립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이후 통합하여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코딩 표준과 규칙을 준수하여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 보수성을 높였다.

 

4. 테스트

구현된 시스템이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시스템 테스트 등을 통해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5. 배포 및 유지 보수

테스트를 완료한 시스템을 실제 운영 환경에 배포하였다. 배포 후에는 사용자 교

육을 실시하여 시스템 활용도를 높였으며, 운영 중 발생하는 문제나 추가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인 유지 보수 활동을 수행하였다.

 

5. 분석 및 평가

5 1. 폭포수 모델의 장점

1. 명확한 단계 구분: 각 단계가 독립적이고 순차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관리와문

서화가 용이하며,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쉽게 추적할 수 있다.

 

2. 예측 가능성: 프로젝트 초기에 전체 계획과 산출물이 명확하게 정의되므로,

, 비용, 자원 배분 등을 예측하기 쉽다.

 

3. 관리 용이: 각 단계별 검증과 승인을 거치므로,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파악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4. 문서화: 체계적인 문서화 덕분에 향후 유지 보수나 후속 프로젝트에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5 2. 폭포수 모델의 단점 및 한계

1. 변경에 대한 유연성 부족: 한 번 단계가 완료되면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어렵기

때문에, 요구사항이 변경되거나 추가될 경우 대응이 힘들 수 있다.

 

2. 문제 조기 발견 어려움: 전체 시스템이 완성된 후에야 통합 테스트를 통해 문제

를 발견하는 경우가 많아, 초기 단계에서의 오류가 후반에 큰 비용과 시간을 초래

할 수 있다.

 

3. 대규모 및 복잡한 프로젝트에 부적합: 요구사항이 불확실하거나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프로젝트에서는 반복적이고 민첩한 방법론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4. 고객과의 피드백 부족: 각 단계가 완료될 때까지 고객과의 직접적인 피드백이 제한되므로, 최종 결과물이 고객의 기대와 다를 위험이 있다.

 

5 3. 평가

다윈 ERP 프로젝트에서 폭포수 모델을 적용한 것은 프로젝트의 체계적 진행과 성공적인 완수를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다. 폭포수 모델은 소프트웨어 개발을 일련의 선형적인 단계로 분할하여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방법론으로, 각 단계는 이전 단계가 완료된 후에 시작되며, 문서화에 중점을 뒀다. 결과적으로 폭포수 모델의 적용은 다원 ERP 프로젝트의 체계적인 진행과 품질 관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폭포수 모델 이외에도 애자일(Agile) 모델, 스크럼(Scrum) 모델, V-모델 등 다른 모델을 사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가 나타난다.

 

5 4. 애자일(Agile) 모델

다윈 ERP 프로젝트에서 에자일(Agile) 방법론으로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유연한 요구사항 반영: 애자일은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개발 방식을 통해 프로젝

트 진행 중 발생하는 요구사항 변경이나 추가를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를 통

해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2. 빠른 피드백 루프: 주기적인 스프린트를 통해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함으로써, 최종 사용자 요구에 부합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고, 시스템의 실제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3. 위험 관리 향상: 점진적 개발을 통해 프로젝트 초기에 잠재적인 문제를 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다. 이는 프로젝트으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예산 초과나 일정 지연을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4. 부서 간 협업 강화: 애자일은 다양한 부서의 요구사항을 지속적으로 반영하고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부서 간 협업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조직 전체의 목표와 일치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5 5. 스크럼(Scrum) 모델

다윈 ERP 프로젝트에서 스크럼(Scrum) 방법론으로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유연한 요구사항 변경 대응: 스크럼은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개발 방식을 통해

프로젝트 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요구사항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나 새로운 요구사항을 신속하게 변영하여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다.

 

2. 사용자 참여와 피드백 강화: 스크럼은 짧은 개발 주기를 통해 사용자와 지속적인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요구에 부합하는 기능을 우선적으로 개발하고, 시스템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위험 관리 및 품질 향상: 스크럼은 각 스프린트마다 기능을 완성하고 테스트함으로써 조기에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검증 과정을 통해 시스템의 품질을 높이고, 프로젝트의 위험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4. 단계적 시스템 도입 기능: 스크럼은 모듈 단위로 기능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어, ERP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데 유리하다. 이를 통해 전체 시스템을 한 번에 도입하는 것보다 리스크를 줄이고, 사용자 적응도를 높일 수 있다.

 

5 6. V-모델

다윈 ERP 프로젝트에서 V-모델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명확한 요구사항 정의와 검증: V-모델은 개발 과정의 각 단계에서 대응하는 테

스트 단계를 명확히 정의하여, 요구사항이 정확하게 반영되었는지 지속적으로 검증

한다. 이를 통해 초기 요구사항과 최종 결과물 간의 일치를 보장할 수 있다.

 

2. 체계적인 설계와 검증 프로세스: 시스템 설계 단계에서부터 테스트 계획을 수립하고, 각 설계 요소에 대한 검증 절차를 마련함으로써 설계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체계적인 접근은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

 

3. 개발과 테스트의 병행으로 인한 효율성 향상: V-모델은 개발 단계와 테스트 단계를 병행하여 진행함으로써,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프로젝트 관리의 용이성: 각 단계별로 명확한 목표와 검증 절차가 설정되어 있어,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는 프로젝트의 일정 준수와 품질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6. 결론 및 제안

다윈 ERP 프로젝트는 폭포수 모델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단계에서 철저한 문서화와 검증을 통해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폭포수 모델의 특성상 요구사항 변경에 대한 대응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프로젝트 초기에 정확하고 상세한 요구사항 분석이 중요하다. 또한, 프로젝트의 특성과 환경에 따라 폭포수 모델 외에 애자일(Agile) 모델, 스크럼(Scrum) 모델, V-모델 등의 다른 개발 방법론도 고려하는 것도 필요하다.

게임개발을 할 때 전체적인 것을 계획을 구현할 때, 폭포수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 하지만 게임개발의 특성상 변화가 번번하고 창의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애자일(Agile) 모델, 스크럼(Scrum) 모델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각각의 모델들의 장점을 파악하고 사용한다면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https://www.dvn.ci/blog/erp-%EB%9C%BB%EB%B6%80%ED%84%B0-%EB%8C%80%ED%91%9C%EC%A0%81-erp-%EC%B6%94%EC%B2%9C-erp-%EA%B5%AC%EC%B6%95-%EB%B0%A9%EB%B2%95-3%EA%B0%80%EC%A7%80-36276?utm_source=chatgpt.com

ERP 뜻부터 대표적 ERP 추천, ERP 구축 방법 3가지 Da Vici 블로그

 

https://gangdonggil.tistory.com/686?utm_source=chatgpt.com

[전통적인 방법론] 폭포수(Waterfall) 모델 1. 폭포수 모델 개요 및 기본 개념(1. 폭포수(Waterfall)모델) 개발_노트 T스토리 블로그

 

https://d2henry.com/entry/%ED%8F%AD%ED%8F%AC%EC%88%98-%EB%AA%A8%EB%8D%B8-%ED%8A%B9%EC%A7%95-%EC%A0%81%EC%9A%A9-%EC%9D%98%EA%B2%AC?utm_source=chatgpt.com

폭포수 모델 특징, 적용, 의견 by 화천사장 T스토리 블로그

 

https://blog.wishket.com/erp%EA%B0%9C%EB%B0%9C-%EB%AA%A8%EB%93%A0-%EA%B2%83-%ED%95%9C-%EB%B2%88%EC%97%90-%EC%B4%9D%EC%A0%95%EB%A6%AC/

ERP개발에 대한 모든 것, 한 번에 총 정리 wishket blog

 

https://velog.io/@afg9327/%ED%8F%AD%ED%8F%AC%EC%88%98-%EB%AA%A8%EB%8D%B8Waterfall-Model

폭포수 모델(Waterfall Model) velog 이재민

 

https://easypeashenglish.tistory.com/63#google_vignette

V 모델 (V-Model) 정의 (소프트웨어 공학) 잡식왕 T스토리 블로그

 

https://velog.io/@gun_123/%EC%86%8C%ED%94%84%ED%8A%B8%EC%9B%A8%EC%96%B4-%EA%B0%9C%EB%B0%9C-%EB%AA%A8%EB%8D%B8-%EC%95%A0%EC%9E%90%EC%9D%BC-%EC%8A%A4%ED%81%AC%EB%9F%BCScrum-%EB%B0%A9%EB%B2%95%EB%A1%A0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 애자일 스크럼(Scrum) 방법론 velog IMKUNYOUNG 블로그

 

 

https://velog.io/@cokkum113/%EC%95%A0%EC%9E%90%EC%9D%BC-%ED%94%84%EB%A1%9C%EC%84%B8%EC%8A%A4-%EB%AA%A8%EB%8D%B8

애자일 프로세스 모델 VELOG Stormi velog

'학교 과제 - 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네트워크 필기  (0) 2025.04.14
플래그를 찾는 과정  (0) 2025.03.27
DB  (1) 2024.12.21
OPEN RAN - CU  (0) 2024.12.12